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742
한자 趙克善
이칭/별칭 유제(有諸),야곡(冶谷),문목(文穆)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95년연표보기 - 조극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조극선 동몽교관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48년 - 조극선 온양군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7년 - 조극선 사헌부장령 역임
몰년 시기/일시 1658년연표보기 - 조극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62년 - 조극선 이조판서로 증직되고 문목(文穆) 시호를 받음
출생지 조극선 출생지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효교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조극선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시동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도산서원 -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8[탄방동 220-1]
사당|배향지 회암서원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한양(漢陽)
대표 관직 사헌부장령

[정의]

조선 후기 예산 출신의 문신.

[개설]

조극선(趙克善)[1595~1658]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벼슬이 사헌부장령에 이르렀으며, 효행과 학행으로 명성이 높았다.

[가계]

조극선의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유제(有諸), 호는 야곡(冶谷),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곤(趙鵾), 할아버지는 조흥무(趙興武)이다. 아버지는 조경진(趙景璡)이고, 어머니는 진사 이치림(李致霖)의 딸 공주이씨(公州李氏)이다. 부인은 첨지 조찬(趙贊)의 딸 강화최씨(江華崔氏)이다.

[활동 사항]

조극선은 1595년(선조 28) 지금의 예산군 봉산면 효교리에서 태어났다. 이명준(李命俊)·박지계(朴知誡)·조익(趙翼) 등에게서 배웠다. 1623년(인조 1) 학행으로 추천되어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이어 종부시주부·공조좌랑을 역임하고 한때 은거하였다. 그 뒤 익위사사어(翊衛司司禦)·호조정랑을 역임하였고, 병자호란이 일어나던 1636년에는 이조정랑으로서 시폐(時弊)와 자강지책(自强之策)을 간곡히 진언하였다.

조극선은 병자호란 후 순창군수·형조정랑·사어 등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다가 1648년에 온양군수로 부임하였다. 효종이 즉위하면서 당시 좌의정이던 조익의 강력한 추천으로 성균사업(成均司業)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였다. 그 뒤에도 조정에서 강화부사·순창군수·익산군수·공조정랑 등에 임명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나가지 않았다. 1657년(효종 8) 사헌부지평으로 관직에 복귀한 후 곧 장령이 되었고, 선공감첨정(繕工監僉正)을 거쳐 이듬해 다시 장령으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조극선의 저서로는 『야곡집』 10권과 『야곡삼관기(冶谷三官記)』가 있다. 『야곡집』은 10권 4책으로 8대손 조종호(趙鍾灝)가 1893년(고종 30)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동수(尹東洙)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종호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45수, 권2는 「응지소(應旨疏)」·「의포저조선생변무소(擬浦渚趙先生卞誣疏)」 등 소(疏) 10편, 권3과 권4는 서(書) 35편, 권5는 서(序) 4편·기(記) 2편·지(識) 5편·논(論) 4편·잠(箴) 3편·설(設) 3편, 권6은 「자송문(自訟文)」과 「의병통유문(義兵通諭文)」 등 잡저 7편·축문 10편·제문 13편·비기(碑記) 2편·행장 2편, 권7~권10은 「삼관기(三官記)」가 수록되었다. 서(書)는 스승 이명준·박지계·조익에게 올린 것이 많으며, 「삼관기」는 저자가 평소 마음에 느끼고 보고 들은 것을 마음[心] ·귀[耳] ·눈[目]의 3관(官)에 각각 비유해서 기록한 것이다.

[묘소]

조극선의 묘소는 예산군 봉산면 시동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862년(철종 13) 조극선은 조정으로부터 이조판서로 증직되고 문목(文穆)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창(新昌)의 도산서원(道山書院)과 덕산(德山)의 회암서원(晦庵書院)에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