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70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이경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6년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씻김굿 촬영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기 위해 펼치는 무속 의례.

[개설]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세습무(世襲巫)에 의해 씻김굿이 전승되었다. 각 지역에는 대대로 활동해 온 세습무들이 있어서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양상을 띠기도 했다.

씻김굿은 연행 목적이나 시기에 따라 종류가 세분된다. ‘곽머리 씻김굿’은 출상하기 전날 밤에 관 옆에서 하는 씻김굿이다. ‘날 받이 씻김굿’은 집안에 안 좋은 일이 있을 경우 조상을 위해 날을 받아 하는 씻김굿이다. ‘소·대상 씻김굿’은 소상(小喪)이나 대상(大喪) 후 탈상할 때 하는 굿이다. ‘49재 씻김굿’은 49재 때 하는 씻김굿이다. ‘혼 건지기 씻김굿’은 물에 빠져 죽은 혼을 건져 올려서 그 넋을 위로하는 굿이다. ‘저승 혼사 굿’은 처녀·총각으로 죽은 혼끼리 사후 결혼시키는 굿이다. 이렇듯 씻김굿은 목적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갖고 이루어진다. 그러나 씻김굿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절차도 약간의 가감이 있을 뿐이다.

[신당/신체의 형태]

씻김굿은 진행 상황에 따라 장소가 달라지고 그 절차에 맞는 제상이 차려진다. 물에 빠져 죽은 혼을 위로하는 굿을 할 경우 먼저 강가에 가서 혼 건지기를 하고 집으로 모시고 온 뒤 마당 돌기를 한다. 마당 돌기는 혼 맞이를 한 후 집 안에 들어오면서 마당을 세 바퀴 돌고 봉창 옆에다 술을 부어주는 ‘주점’을 하는 절차다.

이어 안당부터 제석굿까지는 집 안에서 하는데 해당 굿의 성격에 맞춰 ‘간데 말래’ 또는 안방에서 굿을 한다. ‘간데 말래’란 대청마루에 해당하는 ‘가운데 마루’를 지칭하는 말이다.

그리고 오구굿부터 중반부 이후의 절차는 마당에서 연행된다. 한편 사람이 죽은 후 삼 년 내에 하는 ‘진굿’의 경우 마당에서 연행되지만, 삼 년이 지난 이후에 하는 ‘마른굿’은 마당에 따로 굿청을 차리지 않고 실내에서 모두 연행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씻김굿의 구성은 전통적인 가옥 구조에 따른 것이고, 지금은 이런 공간 구성이나 상차림이 엄격하게 지켜지지는 않는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절차]

씻김굿의 절차는 굿의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유동적으로 나타날 때가 많다. 그러므로 항상 똑같이 이루어진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조왕굿의 경우 '진굿'에서는 대개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지역에 따라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인다.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벽송리에서 활동해 온 황옥진 무녀는 굿의 종류에 따라 절차를 세분해서 다음과 같이 구술했다.

날 받이 굿은 좋은 날을 택일하여 하는 씻김굿인데, 절차를 보면 산굿→조왕→안당→조상굿[초가망석]→지석굿[제석굿]→오구→손님→고풀이→액풀이→씻김→길닦음→거리 순으로 진행된다. 곽머리굿[진씻김]은 혼맞이→안당→초가망석→지석굿[제석굿]→오구→손님→고풀이→액풀이→씻김→길닦음→거리 순으로 진행된다. 초상을 치른 지 사흘 후인 삼우에 하는 삼우굿[자리걷이 굿]은 맨 처음에 혼 부르기라는 절차가 들어가고 나머지는 진씻김과 비슷하다고 한다.

또한 혼 건지기 굿은 물에 빠져 죽은 혼을 건져 올린 후에 하는 씻김굿인데, 처음에 용왕굿을 하고 다음 안당부터는 다른 씻김굿과 같다고 한다. 그리고 혼사굿은 안당→조상→혼사굿→지석굿[제석굿]→오구→손님→고풀이→액풀이→씻김→길닦음 순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한천면의 세습무인 안향모가 구술한 씻김굿의 절차는 안당→혼맞이→선부리→제석굿→오구굿→넋 올리기→고풀이→씻김→길닦음→거리 중천 등으로 진행된다. 망자가 밖에서 죽은 원혼일 경우에는 안당 다음에 혼맞이를 한다. 그렇지 않을 때는 혼맞이를 빼고 한다. 그리고 조왕굿씻김굿을 할 때는 하지 않으며, 정월에 신수 좋으라고 독경하거나 재수 좋으라고 할 때 연행한다고 한다.

화순군 능주면씻김굿은 최근까지도 가장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으며, 그 절차는 고정되지 않고 가감될 수 있다. 1986년에 촬영된 영상을 보면, 혼맞이 →안당굿→본향→조상굿[선부리]→지왕풀이→제석굿→오구굿→넋올리기→고풀이씻김굿→길닦음→대신치기→사신 순으로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10.13 내용수정 "남면 → 사평면"으로 수정
이용자 의견
윤** 2020년 1월 1일부터 남면에서 사평면으로 변경 되었습니다.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