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중부에 있는 군. 예산군은 백제 때에는 ‘까마귀 뫼’란 뜻으로 ‘오산(烏山)’, 통일신라 때에는 ‘외로운 뫼’의 의미를 안은 ‘고산(孤山)’으로 각각 불렸다가 고려 태조 때에 ‘예도의 고장’이란 뜻에서 ‘예산(禮山)’으로 고쳤다. 예산군(禮山郡)의 동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서쪽은 서산시, 남쪽은 홍성군·청양군, 북쪽은 당진시·아산시와 접하고...
예산읍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읍. 예산군의 동북쪽에 있는 읍으로, 예산군의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동쪽으로는 대술면과 아산시 도고면, 서쪽으로는 오가면, 남쪽으로는 대흥면, 북쪽으로는 신암면과 아산시 도고면과 접하고 있다. 1917년 예산군(禮山郡)의 이름을 따라 예산면이라 부르게 된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 예산현 지역으로 현내면(縣內面)이라 부...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간양리(間良里)의 이름은 조선시대에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에 속해 간양동(間良洞), 간양골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금평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후리(堂后里), 구정리(九井里), 박달리(博達里)와 신창군 남상면의 사대리, 가적리, 대소정리, 효자동의 각 일부를...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관작리(觀爵里)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광정동과 둑적리를 병합하고, 관작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으로 변경되면서 관작리가 예산면에 편입되었다. 1940년 예산면이 예산읍으...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일 때 궁들에 있어서 궁들 또는 궁평(宮坪)이라 부른 데서 궁평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금평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낙포리와 신창군 상남면의 봉임리 일부를 병합하고, 궁평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궁평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일부 동리를 병합하면서 대회리(大回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마동(上馬洞), 외암리(外岩里), 호롱골을 병합하고, 대회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禮山面)으...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일 때 바리신점, 발신점이라 부른 데서 발연리(勃然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군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동(元洞)을 병합하고, 발연리(勃然里)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발연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禮山面)으로 변경되...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일 때 무한산성(無限山城)이 있어서 산성(山城)이라 부른 데서 산성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군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암하리(岩下里), 검곡리(檢谷里)를 병합하고, 산성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산성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일 때 샘이 있으므로 샘골이라 하였는데, 변하여 새양골 또는 석양동이라 부른 데서 석양리(夕陽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군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석양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석양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禮山面)으...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일 때 무쇠가 나므로 무쇠골 또는 수철동(水鐵洞)이라 부른 데서 수철리(水鐵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예산군 금평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수철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수철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으로 변경되면서 예산면 수철리가 되었...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일 때 일대 역원(驛院) 중 주요 원의 하나인 신례원(新禮院)에서 신례원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예산군 금평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곡리 및 득운리를 병합하고, 신례원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신례원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으로 변...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예산군의 읍내가 되므로 예산읍내(禮山邑內) 또는 임성동(任城洞)이라 불렀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예산리(禮山里)라 명명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현내면에 속하였고, 1896년(건양 1) 군내면(郡內面)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군내면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탑동(塔洞), 칠곡리(七谷里), 연지동(蓮...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예로부터 '배다리'라고 불리웠는데, 배다리는 '배가 드나드는 마을'을 뜻한다. 조선시대부터 한자로 '주교리(舟橋里)'라 기록하고 있다. 예전에 무한천 위에 배다리가 있었던 데서 주교리 명칭이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현 현내면에 속하였고, 1896년(건양 1) 현내면을 군내면으로 변경하면서 예산군 군내면 지역에 속...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창촌(倉村), 내소리(內所里) 및 외소리(外所里)의 이름을 따서 창소리(倉所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창촌, 내소리 및 외소리를 병합하고, 창소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창소리는 1917년 임성...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군내면(郡內面) 지역일 때 향천사(香泉寺)가 있으므로 향천동(香泉洞)이라 부른 데서 향천리(香泉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군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복천리(復泉里), 소벌리(小伐里), 산직리(山直里)를 병합하고, 향천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향천리...
삽교읍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읍. 예산군의 중서부에 있는 읍이다. 예산군 2읍 10면의 하나이다. 동쪽은 오가면, 남쪽은 응봉면과 홍성군 홍북면, 서쪽은 덕산면, 북쪽은 고덕면, 신암면과 접하고 있다.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존재하던 삽교(揷橋)의 이름을 따서 삽교면 지명이 유래하였다. 삽교는 ‘섶다리, 삽다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섶다리가 변하...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리(駕里)는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지형이 가마처럼 생겼으므로 가마새, 가마시 또는 가산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룡리(上龍里), 역하리(驛下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가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지역일 때 ‘들의 머리’가 되므로 들머리라 불렀고, 들머리가 변하여 두루머리라 부르게 된 데서 두리(頭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장촌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현화리(玄化里), 사촌(槎村), 방리(方里) 일부를 병합하고, 두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덕산면(大德山面) 지역일 때 ‘찬샘’이 있어서 ‘목욕’을 하였으므로 목리(沐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리와 홍주군 치사면의 치사동 비지를 병합하고, 목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목리는 1973년 삽...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거구화면(巨九火面) 지역일 때 지형이 ‘방아의 다리’처럼 생겼다 하여 방아리, 방하, 방아다리라고 부른 데서 방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거구화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방하리(方下里), 좌천리(佐川里)와 덕산군 장촌면의 방리(方里) 일부를 병합하여 ‘좌천’과 ‘방하’...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삽다리의 이름을 따서 삽다리, 삽교(揷橋)라 부른 데서 삽교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흥리(新興里)와 평촌(坪村), 상성리(上城里), 하성리(下城里)의 각 일부와 장촌면의 도리(島里) 일부를 병합...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성미 위쪽’이 되므로 위성미 또는 상성산이라 부른 데서 상성리(上城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동(上洞), 하성리(下城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상성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상성...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상갈리(上葛里)와 하갈리(下葛里)의 이름을 따서 상하리(上下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갈리, 하갈리, 창정리(倉井里), 역동驛洞, 역중리(驛中里), 송산리(松山里)의 각 일부와 현내면의 동문리(...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토성(土城)이 있어서 성미 또는 성산(城山)이라 부른 데서 성리(城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촌면 의 현교리와 예산군 거구화면의 목소리를 병합하고, 성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揷橋面)에 편입되었다. 성...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소나무가 많아서 솔미 또는 송산(松山)이라 부른 데서 송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안치리(鴈峙里) 일부와 대덕산면의 신리(新里) 일부와 현내면의 역리 일부를 병합하고, 송산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덕산면(大德山面) 지역일 때 ‘삽교천 가’가 되므로 수촌(水村)이라 부른 데서 수촌리(水村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조지면의 평리 일부를 병합하고, 수촌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수촌리는 1973년 삽교면이 삽...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흥리(新興里)와 가곡리(佳谷里)의 이름을 따서 신가리(新佳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본래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흥리와 가곡리를 병합하고, 신가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신가리는 1973년 삽교면이 삽교읍으로 승격되면서...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덕산면(大德山面) 지역일 때 ‘새로 이룩된 마을’이므로 새말 또는 신촌(新村)이라 부른 데서 신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덕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이리(二里), 삼리(三里), 목리(沐里)의 각 일부와 현내면의 원리(院里) 일부, 대조지면의 안치리(鴈峙...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들 가운데 ‘긴 언덕’이 있으므로 기럭재 또는 안티라 부른 데서 안치리(雁峙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역상리 일부를 병합하고, 안치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삽교면이 삽교읍으로 승...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급천역(汲泉驛)이 있으므로 역말 또는 역동(驛洞)이라 부른 데서 역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역중리(驛中里), 역하리(驛下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역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역리는...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지형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용머리 또는 용두라 부른 데서 용동리(龍洞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동(下洞), 상룡리(上龍里), 하룡리(下龍里), 상동(上洞), 하성리(下城里) 일부를 병...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뒷산이 ‘반달’과 같이 생겼으므로 월산(月山), 월산리(月山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오가면(吾可面) 지역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산리라 하여 오가면에 편입되었으며, 1983년 삽교읍에 편입되었다. 북서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가 발달되어 있고, 구릉지의 일부에...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덕산면(大德山面) 지역일 때 면소(面所)에서 ‘거리가 둘째’가 되므로 이리(二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삼리(三里), 수촌리(水村里)의 각 일부와 대조지면의 안치리(鴈峙里), 역상리(驛上里), 평촌(坪村)의 각...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창우물, 창정(倉井)이라 부른 데서 창정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도용면의 삼리(三里), 풍경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창정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삽교면이 삽교읍으로 승격...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대조지면(大鳥旨面) 지역일 때 ‘벌판’이 있으므로 벌말 또는 평촌(坪村)이라 부른 데서 평촌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대조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삽교리 일부와 대덕산면의 이리 일부를 병합하고, ‘평촌리(坪村里)’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197...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하리(下里)와 포리(浦里)의 이름을 따서 하포리(下浦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리, 포리, 신리(新里)를 병합하고, 하포리라 하여 예산군 삽교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삽교면이 삽교읍으로 승격...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효리(新孝里)와 갈림리(葛林里)의 이름을 따서 효림리(孝林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우가산면(亏可山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효림리라 하여 오가면(吾可面)에 편입되었다가, 1983년 삽교읍에 편입되었다. 북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가...
고덕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서북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의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당진시 합덕읍과 면천면, 서쪽은 봉산면, 남쪽은 삽교읍, 동쪽은 신암면과 당진시 합덕읍과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덕풍현(德豊縣)의 소재지가 이산(伊山)의 병영인 옛 성안으로 옮겨 가게 되면서 덕산현 관아가 있던 대천리 일대는 ‘옛날 현 안에 있던 면’이...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현내면(古縣內面) 지역일 때 한내 또는 대천(大川)라 부른 데서 대천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현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별리(上別里), 내성리(內城里), 외성리(外城里), 옥동(玉洞), 고곡리(古谷里), 해상리(海上里), 하리(下里)를 병합하고, 대...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도용면(道用面) 지역일 때 지형이 ‘구미[후미] 안쪽’이 되므로 굼안, 구만이 또는 구만(九萬)이라 부른 데서 구만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도용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포리(浦里), 황금리(黃金里), 천변리(川邊里)를 병합하고, 구만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편...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산면(高山面) 지역일 때 굼실 또는 몽곡(夢谷)이라 부른 데서 몽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양금리(良今里), 하몽리(下夢里), 원기리(元岐里), 두곡리, 주교리(舟橋里), 상몽리(上夢里), 천변리(川邊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사리(四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덕산군 도용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일리(一里), 이리(二里), 삼리(三里), 조산리(阻山里)와 대조지면(大鳥旨面) 하룡리(下龍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사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편입되었다. 북서부에 해발고도 100...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거등면(居等面) 지역일 때 상리(上里)와 궁리(宮里)의 이름을 따서 상궁리(上宮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거등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방리(傍里), 상리, 궁리와 고현내면(古縣內面) 하리(下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상궁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산면(高山面) 지역일 때 ‘몽곡리의 굼실 위쪽’이 되므로 위굼실 또는 상몽곡(上夢谷)이라 부른 데서 상몽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어은동(漁隱洞), 상시동(上枾洞), 후곡동(後谷洞), 동리(洞里), 천변리(川邊里), 호음리(好音...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현내면(古縣內面) 지역일 때 석골 또는 석곡(石谷)이라 부른 데서 석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현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방축리(防築里), 신동(新洞)을 병합하고, 석곡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편입되었다. 남동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가...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산면(高山面) 지역일 때 장사리의 위쪽이 되므로 상장(上長)이라 부른 데서 상장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도동(道洞)과 고현내면 하리(下里)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상장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편입되었다. 중부 및 북부에 해발고도...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오촌(梧村)과 추동(楸洞)의 이름을 따서 오추리(梧楸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산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촌, 추동, 지곡리(紙谷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오추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편입되었다. 북서부, 북부, 남동부 및 동북부에 해발고도 100...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산면(高山面) 지역일 때 종이를 만들었으므로 조실 또는 지곡(紙谷)이라 부른 데서 지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장리의 일부를 병합하고, 지곡리라 하여 예산군 고덕면에 편입되었다. 중부 및 서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도용면(道用面) 지역일 때 지형이 용수(龍首)처럼 생겼으므로 용수말 또는 용수라 부른 데서 용리(用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도용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리(中里)와 대조지면(大鳥旨面) 상룡리(上龍里), 하룡리(下龍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용리라 하여...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산면(高山面) 지역일 때 흠골 또는 호음동(好音洞)이라 부른 데서 호음리(好音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상리(新上里), 공수동(公守洞), 매동(梅洞), 황매동(黃梅洞), 천변리(川邊里) 일부를 병합하고, 호음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남부에 있는 법정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동쪽으로 신양면과 청양군, 북쪽으로 대흥면, 서쪽으로 홍성군, 남쪽으로 청양군과 접하고 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면소재지를 둔 광시리(光時里)의 이름을 따서 광시면(光時面)이라 불렀는데, 광시리는 조선시대 광시역(光時驛)이 있어서 역말·역촌·광시라고 부...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일 때 가들미 또는 가덕(加德)이라 부른 데서 가덕리(加德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점리(店里), 상동막리(上東幕里), 하동막리(下東幕里)와 청양군(靑陽郡) 서상면(西上面) 장재동 일부를 병합하고, 가덕리라 하여...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관음사(觀音寺)가 있으므로 관음 또는 관음동(觀音洞)이라 부른 데서 관음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현암리(玄岩里), 갈산리(葛山里)를 병합하고, 관음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관음리의...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광세역(光世驛)이 있으므로 역말, 역촌(驛村), 광세역 또는 광시(光時)라 부른 데서 광시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광시리(大光時里), 웅산리(雄山里), 탑동(塔洞)을 병합하고, 광시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물이 좋고 땅이 건 들’이 있으므로 구례골, 구례, 또는 구례동(九禮洞)이라 부른 데서 구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강진리(江津里), 상구례동(上九禮洞), 하구례동(下九禮洞), 상촌(上村), 황곡리(篁谷里...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갈밭이 있으므로 갈앗 또는 노전(蘆田)이라 부른 데서 노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달리(西達里), 공암리(孔岩里), 구화리(九花里)를 병합하고, 노전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光時面)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일 때 대동(大洞)이라 부른 데서 대리(大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리(中里), 상양지리(上陽支里), 구곡리(九谷里), 양지동(陽支洞), 상시목리(上矢目里), 상삽리를 병합하고, 대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동살미 또는 동산(東山)이라 부른 데서 동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동산리(上東山里), 중동산리(中東山里)를 병합하고, 동산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동산리의 동부를 제외한 전...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말을 먹이던 곳’이므로 구레골, 구례 또는 구례동(九禮洞)이라 부른 데서 마사리(馬沙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막사리(可幕沙里), 상마사리(上馬沙里), 내상산리(內上山里), 점촌리(店村里)를 병합하고,...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일 때 ‘매봉재 밑 골짜기’가 되므로 미실 또는 미곡(美谷)이라 부른 데서 미곡리(美谷里)가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신대리(上新垈里), 하신대리(下新垈里)를 병합하고, 미곡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일 때 서초정(瑞草井)이 있어서 서초정이라 부른 데서 서초정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산직리(下山直里), 마전리(麻田里), 우목리(牛目里), 고개동(高介洞)을 병합하고, 서초정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으로 지형이 살목처럼 생겨 살목 또는 시목이라 한 데서 시목리(矢目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묵계리, 산시랑리, 하시목리, 하양지 등을 병합하여 시목리라 하고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시목리의 서쪽...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새터를 잡아 마을을 이룩하였으므로 새터 또는 신대(新垈)라 부른 데서 신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막동(可幕洞)을 병합하고, 신대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북부 및 서부에 100m 내외의...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흥리(新興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산직리(上山直里), 대계리(臺溪里), 소대리(昭臺里)를 병합하고, 신흥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100~300m의 구릉지가 발달되...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일 때 지형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용머리 또는 용두(龍頭)라 부른 데서 용두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용두리(上龍頭里), 하용두리(下龍頭里), 평촌(坪村)을 병합하고, 용두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구르미 또는 운산(雲山)이라 부른 데서 운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산직리(山直里), 동달리(東達里)를 병합하고, 운산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서부 및 북부에 237.1m를 최고점으로 하...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월래동(月來洞)과 송우리(松隅里)의 이름을 따서 월송리(月松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래동과 송우리를 병합하여 월송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북서부 예당저수지 연변의 평지를 제외하고,...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은사(銀寺)가 있으므로 은절골, 은적골 또는 은사동(銀寺洞)이라 부른 데서 은사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류동(五柳洞), 하심곡리(下深谷里), 주올리(注兀里), 상리(上里)를 병합하고, 은사리라 하여...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지명을 장신리(長信里)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동해리(上東海里), 하동해리(下東海里), 자개동(自槪洞)을 병합하고, 장신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서부 및 북부에 무한천의 범람원 충적지가 비교적 큰...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이남면(二南面) 지역일 때 ‘긴 밭’이 있으므로 진밭미 또는 장전리(長田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이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출리(砂出里), 시목리(柿木里)를 병합하고, 장전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동북부와 남부에 100m 내...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일남면(一南面) 지역일 때 ‘광시장의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장터 또는 하장대(下場垈)라 부른 데서 하장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일남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심곡리(上深谷里), 화암리(花岩里)를 병합하고, 하장대리라 하여 예산군 광시면에 편입되었다. 서부...
대술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동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서쪽은 예산읍·대흥면, 남쪽은 신양면, 동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과 접하고 있다.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한갓골 또는 한삭골이라 부르던 대지동(大枝洞)과 술곡(述谷)의 이름을 따서 대술면(大述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백제 때...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대지동면(大枝洞面) 지역일 때 고사리가 많이 있으므로 고새울 또는 궐곡(蕨谷)이라 부른 데서 궐곡리(蕨谷里)가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대지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리(新里), 마산리(馬山里), 다촌(茶村), 삼거리(三巨里), 부경동(富慶洞)과 술곡면의 괴리(槐里)를 병합...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술곡면(述谷面) 지역일 때 농사짓는 농소(農所)가 있으므로 농소 또는 농리(農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술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비곤리(庇昆里), 외돈리(外頓里)를 병합하고, 농리라 하여 예산군 대술면에 편입되었다. 농리의 서쪽 경계에서...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술곡면(述谷面) 지역일 때 삼밭이 많으므로 삼마실 또는 마전(麻田)이라 부른 데서 마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술곡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삼리(上三里), 하삼리(下三里), 신삼리(新三里), 무성리(武城里), 수조리(水潮里) 일부와 공주군 신상면의 산북리(山北里)를 병...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대지동면(大枝洞面) 지역일 때 ‘천방산 밑’이 되므로 방산골(方山골), 방산동(方山洞) 또는 방산(方山)이라 부른 데서 방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대지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동(古洞), 음산리(陰山里), 양산리(陽山里), 단지동(丹芝洞)을 병합하고, 방산리라...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술곡면(述谷面) 지역일 때 산직집이 있으므로 산직말(山直말)이라 불렀고, 산직말이 변하여 산정말(山亭말)이라 부른 데서 산정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예산군 술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요동(料洞), 죽곡리(竹谷里), 신리(新里)를 병합하고, 산정리라 하여 예산군 대술면에 편입되었...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대지동면(大枝洞面) 지역일 때 ‘갈목 위쪽’이 되므로 위갈목, 상갈항(上葛項) 또는 상항(上項)이라 부른 데서 상항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대지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항리(內項里), 외항리(外項里), 석평리(石坪里), 대곡리(大谷里)와 술곡면의 괴리(槐里) 일...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송석리(松石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대지동면(大枝洞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백사동(白寺洞), 탄동(炭洞), 화정리(花亭里), 석적리(石積里)를 병합하고, 송석리라 하여 예산군 대술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해발고도 100~500여m의...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술곡면(述谷面) 지역일 때 ‘시루봉 밑’이므로 시루미 또는 증산(甑山)으로 불렸던 것이 변하여 시산(詩山)이라 불린 것에서 시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술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리(堂里), 산직리(山直里), 전불리(典佛里)를 병합하고, 시산리라 하여 예산군 대...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술곡면(述谷面) 지역일 때 ‘배티고개 밑’이므로 배티 또는 이티라 부른 데서 이티리(梨峙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술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우명리(牛鳴里), 당리(唐里), 외이리(外梨里), 내술리(內述里), 외술리(外述里), 화대리(化垈里)를 병합하고, 이티리[...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대지동면(大枝洞面) 지역일 때 장복실(長福실) 또는 장복동(長福洞) 이라 부른 데서 장복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대지동면 지역에 속하였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저평리(楮坪里), 비동(碑洞), 국화동(菊花洞), 위수동(渭水洞), 중봉리(中峰里), 웅동(熊洞)을 병합하고, 장복리라...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대지동면(大枝洞面) 지역일 때 사방 산에 ‘진달래꽃’이 많이 피므로 화산(花山)이라 부른 데서 화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대지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묵지리(墨地里), 고물리(古勿里), 도봉리(道峰里)를 병합하고, 화산리라 하여 예산군 대술면에 편입되었다. 서부...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술곡면(述谷面) 지역일 때 ‘꽃’이 많이 있으므로 꽃거리 또는 화천(花川)이라 부른 데서 화천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술곡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독리(禿里), 입석리(立石里), 웅동(熊洞)을 병합하고, 화천리라 하여 예산군 대술면에 편입되었다. 동부 및 북서부에...
대흥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면. 예산군의 중남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예산읍, 서쪽은 응봉면, 남쪽은 광시면, 동쪽은 대술면·신양면과 접하고 있다. 대흥면은 예당저수지, 예당호중앙생태공원 등 풍요로운 자연생태를 보존하고 있고, 백제부흥운동의 거점 지역으로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근세에 이르기까지 내포 지역의 역사와 문화...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바미 또는 율리(栗里)라고 부른 데서 갈신리(葛申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갈신리(上葛申里)와 하갈신리(下葛申里)를 병합하고, 갈신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서부 및 동부에 100m 내외의 구릉지...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읍내면(邑內面) 지역일 때 향교(鄕校)가 있으므로 향교말 또는 교촌(校村)이라 부른 데서 교촌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읍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소천리(召泉里), 상우정리(上牛井里), 중우정리(中牛井里), 소현리, 도접리를 병합하고, 교촌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금이 많이 나므로 쇠울로 불렀다가 변하여 세울, 세오리, 또는 금곡(金谷)이라 부른 데서 금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기곡리(基谷里)를 병합하고, 금곡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금곡리...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갈풀이 많이 있어서 갈울 또는 노동(蘆洞)이라 부른 데서 노동리(蘆洞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기곡리(基谷里)를 병합하고, 노동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노동리 대부분의 지역에...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바미 또는 율리(栗里)라 부른 데서 대률리(大栗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송림리(上松林里)와 하송림리(下松林里)를 병합하고, 대률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대률리 대부분의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대앗골, 댓골 또는 대아동이라 부른 데서 대야리(大也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대야리(內大也里), 외대야리(外大也里)를 병합하고, 대야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대야리 대부분의...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동북리(東北里)와 서북리(西北里)의 이름을 따서 동서리(東西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본래 대흥군(大興郡) 읍내면(邑內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북리와 서북리를 병합하고, 동서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동서리의 서부에 해발고도...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상리(上里)와 중리(中里)의 이름을 따서 상중리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본래 대흥군(大興郡) 읍내면(邑內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리와 중리를 병합하고, 상중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동부, 남부 및 중부에 해발고도 100~400여m의 구...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손짓골, 손죽골 또는 손지동(遜支洞)이라 부른 데서 손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죽림리(竹林里)와 예산군 군내면(郡內面)의 탄부동(炭釜洞)을 병합하고, 손지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서부를...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큰 못[소(沼)]’가 있으므로 송지못 또는 송지연(宋池淵)이라 부른 데서 송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도덕동(道德洞)을 병합하고, 송지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100m...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섶뭇이 많이 있으므로 섶무시 또는 신속(薪束)이라 부른 데서 신속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산직리를 병합하고, 신속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100m 내외의 구릉지가 발달되어...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산이 사방으로 에워 싼 골짜기’가 되어 지룰 또는 지곡(芝谷)이라 부른 데서 지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지곡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중부에 탄방천 지류 하천의 곡간 충적지가 형성되어...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숯뱅이가 있으므로 숯뱅이 또는 탄방(炭防)이라 부른 데서 탄방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류동(古柳洞), 상탄방리(下炭防里), 중탄방리(中炭防里)를 병합하고, 탄방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근동면(近東面) 지역일 때 ‘숯뱅이’가 있으므로 숯뱅이 또는 탄방(炭防)이라 부른 데서 하탄방리(下炭防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근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탄방리라 하여 예산군 대흥면에 편입되었다. 북부와 중부에 100m 이하의 구릉지가 발달되어 있고,...
덕산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서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봉산면, 서쪽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남쪽은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동쪽은 삽교읍과 각각 접하고 있다. 서북부에 가야산, 동남부에 수암산, 중심부에 덕숭산이 있고 동쪽으로는 홍문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온천관광지로 유명하다.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광돌(廣乭)과 사천(斜川)의 이름을 따서 광천리(廣川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하였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했다가 조선 후기에 덕산군(德山郡) 나박소면(羅朴所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낙천(樂川)과 상탄(上炭)의 이름을 따서 낙상리(樂上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본래 덕산군(德山郡) 나박소면(羅朴所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탄리(上炭里), 낙천리(樂川里)와 홍주군 고남하도면(高南下道面)의 갈오리(葛五里), 원성리(元城里)의 각 일...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나박소면(羅朴所面) 지역일 때 내박소(內朴所)의 안쪽이 되므로 안나박소, 내라(內羅) 또는 내라박소라 부른 데서 내라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 덕산군 나박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동(新洞), 송애촌(松崖村), 복당리(福堂里) 일부를 병합하고, 내라리라 하여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나박소면(羅朴所面) 지역일 때 ‘큰 마을’이라 하여 대동(大洞)이라 부른 데서 대동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했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했고 조선 말기에는 덕산군 나박소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거천...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일 때 큰 고개 아래라고 하여 한티, 한티골 또는 대티라 부른 데서 대치리(大峙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했다가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했고, 조선 후기에는 덕산군 현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일 때 둔지미, 둔지산 또는 지산이라 부른 데서 둔리(屯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하였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했다가 조선 후기 덕산군 현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정...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나박소면(羅朴所面) 지역일 때 ‘복을 비는 신당(神堂)’이 있으므로 복당(福堂) 또는 '복댕'이라 부른 데서 복당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했다가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덕산군 나박소면 지역에 속하였...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일 때 덕산읍성(德山邑城)의 북문(北門)이 있으므로 북문거리 또는 북문이라 부른 데서 북문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하였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덕산군 현내면 지역에 속했는데, 19...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현(德山縣) 지역일 때 덕산현의 사직단(社稷壇)이 있었으므로 사직골(社稷골), 사직동(社稷洞) 또는 사동(社洞)이라 부른 데서 사동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하였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덕산군 현내면 지역에 속하였...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천(斜川) 연변에 있으므로 사천이라 부른 데서 사천리(斜川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마시산군에 속했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나박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천리라 하여 예산군 덕산면에 편입되었다. 사천리의 서부...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일 때 가야골(伽倻골) 위쪽이 되므로 위가야골, 위개골, 상가야동(上伽倻洞) 또는 상가(上伽)라 부른 데서 상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현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가리(中伽里) 일부와 사점리(沙店里)를 병합하고, 상가리라 하여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소시(小柿)와 조량(鳥梁)의 이름을 따서 시량리(柿梁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궁평리(宮坪里), 신동(新洞), 노곡리(蘆谷里), 조량리(鳥梁里), 소시촌(小柿村)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시량리라 하...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리(新里)와 평리(坪里)의 이름을 따서 신평리(新坪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리(院里), 신리, 조양리(鳥梁里), 평리, 서문리(西門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신평리라 하여 예산군 덕산면에 편입되...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이곳의 시냇물이 옥(玉)같이 맑아서 옥계(玉溪)라 부른 데서 옥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문리(西門里), 중가리(中伽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옥계리라 하여 예산군 덕산면에 편입되었다. 북동부 일부를 제외한 전...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나박소면(羅朴所面) 지역일 때 나박소의 바깥쪽이 되므로 밭나박소 또는 외나박소(外羅朴所)라 부른 데서 외라리(外羅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덕산군 나박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점촌(店村), 사천리(斜川里) 일부를 병합하고, 외라리라 하여 예산군 덕산면에 편입되었다. 북...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현내면(縣內面) 지역일 때 덕산군청(德山郡廳)이 있으므로 읍내(邑內)라 부른 데서 읍내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현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내리(城內里), 동문리(東門里), 서문리(西門里), 평리(坪里), 신리(新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읍내리라 하여...
봉산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북서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당진군 면천면, 서쪽은 서산시 운산면, 남쪽은 삽교읍과 덕산면, 동쪽은 고덕면과 접하고 있다.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봉명산(鳳鳴山)[일명 봉산]의 지명을 따서 봉산면(鳳山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지역이었으며, 1914년 군면 폐합...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외야면(外也面) 지역일 때 ‘높은 골짜기’에 있으므로 고도실 또는 고도촌(古道村)이라 부른 데서 고도리(古道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외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현내면(古縣內面)의 군대리(君垈里) 일부를 병합하고, 고도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구산(九山)과 식암(息巖)의 이름을 따서 구암리(九岩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식암리, 구산리와 고현내면(古縣內面)의 군대리(君垈里) 일부를 병합하고, 구암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궁리(宮里)와 평리(坪里)의 이름을 따서 궁평리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德山郡) 외야면(外也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궁리, 세영동(細永洞), 평리, 신동(新洞) 일부를 병합하고, 궁평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궁평리의 전 지...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외야면(外也面) 지역일 때 ‘고개 밑’이어서 쇠재 또는 금티[금치(金峙)]라 부른 데서 금치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외야면의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조리(月照里), 중안리(中安里), 탄리(炭里), 신동(新洞)의 일부를 병합하고, 금치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일 때 신당(神堂)이 있으므로 당골, 당곡이라 부른 데서 당곡리(唐谷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금물현에 속했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했으며 말기에는 덕산군 내야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시동(侍洞) 일부와 화은리의 일...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고현내면(古縣內面) 지역일 때 대야골(大也골), 댓골, 대야동(大也洞), 대지동(大支洞)이라 부른 데서 대지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고현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포두리(浦頭里), 송정리(松亭里), 화리(禾里), 군대리(君垈里) 일부와 내야면(內也面)의 사점리(...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외야면(外也面) 지역일 때 마산리(馬山里)와 석교리(石橋里)의 이름을 따서 마교리(馬橋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외야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석하리(石下里), 석교리, 항리(項里), 마산리와 면천군(沔川郡) 마산면(馬山面)의 대곡리(大谷里) 일부를...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봉동(鳳洞)과 서림리(西林里)의 이름을 따서 봉림리(鳳林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금물현에 속하였고,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덕풍현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덕산현에 속하였고 조선 후기에 본래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사점(沙店)과 돌리(乭里)[석리(石里)]의 이름을 따서 사석리(沙石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돌리, 사점리(沙店里), 목리(沐里), 후종리(後宗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사석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인조(仁祖) 때 야곡(冶谷) 조극선(趙克善)이 효성이 지극하여 12살에 어머니 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하였으므로 시묫골이라 하였는데, 시묫골이 변하여 시묵골, 시묘동(侍墓洞), 시동(侍洞)이라 부른 데서 시동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일 때 ‘옻나무 밭’이 있으므로 옻밭골, 옥밭골 또는 옥전(玉田)이라 부른 데서 옥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내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안리(上安里), 중안리(中安里), 화은리 일부를 병합하고, 옥전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외야면(外也面) 지역일 때 옹안(雍安)이라 부른 데서 옹안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외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덕리(大德里)를 병합하고, 옹안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북부에 해발고도 100m 내외의 구릉지가 발달되어 있고, 남부 100m 이...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하안(下安)과 평리(坪里)의 이름을 따서 하평리(下坪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평리, 목리(沐里), 후종리(後宗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하평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내야면(內也面) 지역으로 인조 때 야곡(冶谷) 조극선(趙克善)이 시묘를 살면서 늘 건너다녔다는 ‘효다리’가 있으므로 효다리, 효교(孝橋)라 부른 데서 효교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내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두암리(斗巖里)와 시동(侍洞), 평리(坪里)의 각...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덕산군(德山郡) 외야면(外也面) 지역일 때 꽃밭이 있으므로 꽃밭들, 화전(花田)이라 부른 데서 화전리(花田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덕산군 외야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고상리(高翔里)와 고현내면(古縣內面)의 군대리(君垈里) 일부를 병합하고, 화전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신암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은 당진시 합덕읍과 아산시 선장면, 서쪽은 고덕면과 삽교읍, 남쪽은 오가면, 동쪽은 예산읍과 접하고 있다.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신종면(新宗面)과 입암면(立岩面)의 이름을 따서 신암면(新岩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입암면은 쉰질바위[용궁리]가 서 있으므로 입암면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두촌면(頭村面) 지역일 때 ‘땅이 몹시 질어서’ 진말, 계리(契里) 또는 계천이라 부른 데서 계촌리(桂村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두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곡리(上谷里)를 병합하고, 계촌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계촌리 서부에는 해발고도...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禮山郡) 두촌면(頭村面) 지역일 때 ‘큰들 뒤 골짜기’가 되므로 뒷골 또는 두촌(豆村)이라 부른 데서 두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는 오산현에 속하였고, 신라 때는 고산현, 고려와 조선 초기에는 예산현에 속했으며, 조선 후기에는 예산군 두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호동(狐洞)을...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입암면(立岩面) 지역일 때 ‘벌판’이 됨으로써 벌말, 별촌(別村) 또는 별화리라 부른 데서 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입암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별리(上別里), 하벌리(下別里), 상야리(上野里), 상리(上里), 신리(新里)와,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별...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종리(新宗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천안군(天安郡) 신종면(新宗面) 지역이었다가 1895년(고종 32)에 예산군 신종면 지역으로 변경되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신리(上新里), 하신리(下新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신종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서부 및...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종리(新宗里)와 택동(宅洞)의 이름을 따서 신택리(新宅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천안군 신종면 지역이었다가 1895년(고종 32) 예산군 신종면 지역으로 변경되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종리 일부와 택동을 병합하고, 신택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북중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오지(五池)와 산직(山直)의 이름을 따서 오산리(五山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오원리면(吾元里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기사리(其士里), 산직리(山直里), 오지리(五池里)를 병합하고, 오산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북부 및 남부에 해발...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예림리(禮林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입암면(立岩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림리(松林里), 영산리(令山里)와 면천군(沔川郡) 합북면(合北面) 영하리(令下里)를 병합하고, 예림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북동부 및 남동부에 해발고도...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중룡(中龍)과 궁룡(宮龍)의 이름을 따서 용궁리(龍宮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입암면(立岩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궁룡리(宮龍里), 소사리(蘇沙里), 지동(芝洞), 상룡리(上龍里), 중룡리(中龍里), 소지리(小芝里)를 병합하고, 용궁리라 하여 예...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입암면(立岩面) 지역일 때 ‘새(풀)’이 많았으므로 새실 또는 조곡(鳥谷)이라 부른 데서 조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입암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점촌리(店村里), 중야리(中野里), 산촌리(山村里)를 병합하고, 조곡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禮山郡) 두촌면(頭村面) 지역이었을 때 종경(宗敬)이라 부른 데서 종경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두촌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종경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북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가 발달되어 있다. 서부, 중부 및 동부에는 무한천의 범람원...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입암면(立岩面) 지역일 때 중촌(中村)과 예평(禮坪)의 이름을 따서 중예리(中禮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입암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촌리(中村里), 예평리(禮坪里), 면천군(沔川郡) 합북면 금상리와 덕산군 도용면(道用面) 포리(浦里)를 병합하고, 중...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탄리(新灘里)와 중리(中里)의 이름을 따서 탄중리(灘中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오원리면(吾元里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탄리와 중리를 병합하고, 탄중리라 하여 예산군 신암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가 형...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천안군(天安郡) 신종면(新宗面) 지역일 때 ‘신종 아래 벌판’이 되므로 아래벌 또는 하평(下坪)이라 부른 데서 하평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천안군 신종면 지역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년) 예산군 신종면 지역으로 변경되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면천군(沔川郡) 배방면(俳芳面) 둔곶이의 일부...
신양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한 법정면. 예산군의 남동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대술면, 서쪽은 대흥면, 남쪽은 광시면과 청양군 운곡면, 동쪽은 공주시 유구읍과 접하고 있다. 예로부터 전해내려오는 경관이 아름다운 여덟 곳인 ‘신양팔경(新陽八景)’ 이 있다. 조선시대에 신양원(新陽院)이 있었던 데서 신양리 지명이 유래되었고, 면소재지를...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가지처럼 생겼다고 하여 ‘가지’ 또는 ‘고래때것소’[거질물소(巨叱勿所)]라고 불렀다. 거변소(巨邊所)가 있었으므로 ‘거변’이라 하였다가 다시 가지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거변면(居邊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자은동(自隱洞), 덕동(德洞)과 청양군 북하면의 하두리(下斗里) 일부를 병합하고...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귀곡(貴谷) 또는 귓골이라 부른 데서 귀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원동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기곡리(基谷里), 업목리(業木里), 가좌동(可坐洞), 시목동(枾木洞), 외촌(外村), 신기리(新基里)와 예산군 술곡면(述谷面)의 수조리(水潮...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지형이 ‘노루의 목’처럼 생겼으므로 노루목 또는 장항이라 불렀다가, 녹문(鹿門)이라 변한 데서 녹문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원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암리(松岩里), 박산리(朴山里), 신양리(新陽里)를 병합하고, 녹문리라 하여...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일 때 대덕동(大德洞) 또는 대덕(大德)이라 부른 데서 대덕리(大德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거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덕리(新德里), 동죽리(東竹里), 토동(土洞), 화현리(花峴里), 강변리(江邊里)를 병합하여 대덕리(大德里)라 하...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일 때 만사동(晩士洞) 또는 만사(晩士)라 부른 데서 만사리(晩士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애는 대흥군 거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복리(龍伏里), 주올리(注兀里), 동촌(東村)을 병합하고, 만사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만...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무봉(舞鳳) 또는 무봉골이라 부른 데서 무봉리가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원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곡리(內谷里), 성곡리(城谷里)와 근동면의 석천리(石川里)를 병합하고, 무봉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무봉리 대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불원(不元)이라 부른 데서 불원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원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新垈里), 하원리(下元里)와 공주군(公州郡) 신상면(新上面)의 시왕리(時旺里)를 병합하고, 불원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서계양리(西界陽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리(新里), 격양리(擊壤里), 신흥리(新興里), 성주리(聖住里), 군약리를 병합하고, 서계양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북서부, 중부 및 남서부에 해...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시왕(時旺), 시왕이, 또는 삼왕(三王)이라 부른 데서 시왕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대흥군 원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불운리(上不雲里)와 하불운리(下不雲里)를 병합하고, 시왕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전 지역에 해발고도 100~...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일 때 신양원(新陽院)이 있으므로 신양원, 신양(新陽), 원(院)터라 부른 데서 신양리(新陽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거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공장동(公長洞), 견산리(見山里), 평촌(坪村), 신리(新里)와 공주군 신상면(新上面)의...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일 때 여래미(如來味)라 부른 데서 여래미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거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우정리(牛井里), 도덕동(道德洞), 천구동(千具洞), 고티동(古峙洞)을 병합하고, 여래미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연화무실, 연화무시리, 또는 연동(蓮洞)이라 부른 데서 연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원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공주군(公州郡) 신상면(新上面)의 율계리(栗溪里), 두지동(斗支洞), 박운동(朴云洞)을 병합하고, 연리라 하여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죽리(竹里)와 송천(松川)의 이름을 따서 죽천리(竹川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개월리(開月里), 성민동(聖民洞), 죽리, 송천리(松川里), 용왕리(龍旺里)를 병합하고, 죽천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일 때 ‘국사봉 너머’가 되므로 수레네미 또는 차동(車洞)이라 부른 데서 차동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거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정리(松亭里)와 불목동(不目洞)을 병합하고, 차동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거변면(居邊面) 지역일 때 ‘샘골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샘골, 아래새양골 또는 하천동(下泉洞)이라 부른 데서 하천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거변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천동과 공주군(公州郡) 신상면(新上面)의 하천리를 병합하고, 하천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원동면(遠東面) 지역일 때 황계(黃鷄)라 부른 데서 황계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원동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풍암리(楓岩里)를 병합하고, 황계리라 하여 예산군 신양면에 편입되었다. 북동부, 동부, 서부 및 남부에 해발고도 100~200여m의 구릉지가 발달되...
오가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중앙부에 있는 면으로, 예산군 2읍 10면 중 하나이다. 북쪽은 신암면, 서쪽은 삽교읍, 남쪽은 응봉면, 동쪽은 예산읍과 접하고 있다. 1914년 군면 폐합 당시 오원리면(五院里面)과 우가산면(于可山面)의 이름을 따서 오가면(吾可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현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오원리...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병합된 내동(內洞)과 굴량(屈良)의 이름을 따서 내량리(內良里)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거구화면(巨仇火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동과 굴량리를 병합하고 내량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내량리의 북서부, 남서부, 동부 및 중부에 해발고...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禮山郡) 거구화면(巨仇火面) 지역일 때 ‘부나냇가’가 되므로 부나내, 부난내 또는 분천(汾川)이라 부른 데서 분천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거구화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농소리(農所里), 광진리(光津里)를 병합하고 분천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분천...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촌(新村)과 상원(上院)의 이름을 따서 신원리(新院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오원리면(吾元里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촌리, 상원리, 하원리(下院里)를 병합하고, 신원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전 지역이 해발고도 100m 이하인데...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상리(新上里)와 지장리(池長里)의 이름을 따서 신장리(新長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본래 예산군 우가산면(亏可山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상리, 신촌리(新村里), 신복리(新復里), 지장리를 병합하고, 신장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남부에...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대(新垈)와 백석(白石)의 이름을 따서 신석리(新石里)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우가산면(于可山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新垈里), 신벌리(新伐里), 백석리(白石里)를 병합하고, 신석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동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굴량리(屈良里)와 막동(幕洞)의 이름을 따서 양막리(良幕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거구화면(巨仇火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막동, 굴량리 일부와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별리(別里) 일부를 병합하고, 양막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역촌리(驛村里)와 탑동(塔洞)의 이름을 따서 역탑리(驛塔里)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오원리면(吾元里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역촌리와 탑동을 병합하고, 역탑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북서부, 남부, 중부 및 동북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화천리(華泉里), 신탄리(新灘里), 아지리(鵝池里), 녹야리(綠野里), 상촌리(上村里)의 ‘다섯 마을’을 오촌리(五村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오원리면(吾元里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화천리, 신탄리, 아지리, 녹야리, 상촌리를 병합하고, 오촌...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원형(元亨)과 내천(內泉)의 이름을 따서 원천리(元泉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예산군 오원리면(吾元里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외천리(外泉里), 내천리(內泉里), 원형리(元亨里), 전죽리(箭竹里)를 병합하고, 원천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중부...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우가산면(亏可山面) 지역일 때 ‘벌판’에 있으므로 벌말, 벌리(伐里) 또는 평리(坪里)라 부른 데서 원평리(元坪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우가산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벌리(上伐里)와 하벌리(下伐里)를 병합하고, 원평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남부 경...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월산(月山)과 죽곡(竹谷)의 이름을 따서 월곡리(月谷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군 우가산면(于可山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죽곡리(竹谷里), 월산리(月山里), 석우리(石隅里)를 병합하고, 월곡리라 하여 예산군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남부 및 동부에...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좌천(佐川)과 방하(方下)의 이름을 따서 좌방리(佐方里)라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예산현 우가산면(于可山面)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방하리(方下里), 좌천리(佐川)와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방리 일부를 병합하고, 좌방리라 하여 오가면에 편입되었다....
응봉면
-
충청남도 예산군에 속하는 법정면. 예산군의 중남부에 있는 면이다. 예산군 2읍 10면의 하나이다. 북쪽은 삽교읍과 오가면, 서쪽은 홍성군 홍북면과 금마면, 남쪽은 대흥면과 예당저수지, 동쪽은 대흥면과 접하고 있다. 1917년 계정리(鷄井里)에 있는 응봉산(鷹峰山)의 이름을 따서 응봉면(鷹峰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의 지역이었으며, 1914년...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내북면(內北面) 지역일 때 건지화(乾芝化)라 부른 데서 건지화리(乾芝化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내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건지화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1917년 봉산면이 응봉면(鷹峰面)으로 개칭되어 응봉면 건지화리가 되었다....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닭재 밑의 마을로 우물이 유명하여 ‘달기물’ 또는 ‘계정(鷄井)’이라 부른 데서 계정리(鷄井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내계정리(內鷄井里), 외계정리(外鷄井里), 삼거리를 병합하고, 계정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갈대가 많으므로 갈울 또는 노동(蘆洞)이라 부른 데서 노화리(蘆花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몽석리를 병합하고, 노화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1917년 봉산면이 응봉면(鷹峰面)으로...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내북면(內北面) 지역일 때 등성이에 마을이 있으므로 등촌(登村)이라 부른 데서 등촌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내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등촌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등촌리는 1917년 봉산면이 응봉면(鷹峰面)으로 개칭되어 응봉면 등촌...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송내리(松內里)와 석우리(石隅里)의 이름을 따서 송석리(松石里)라 부른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내리와 석우리를 병합하고, 송석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봉산면이 응...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내북면(內北面) 지역일 때 ‘새로 터를 잡아 이룩’하였으므로 새터 또는 새말이라 부른 데서 신리(新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내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를 병합하고, 신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신리는 1917년 봉산면이 응봉면...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팔봉산 밑 골짜기가 되어 구름과 안개가 늘 끼므로’ 구름실 또는 운곡(雲谷)이라 부른 데서 또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골짜기이므로’ 안골 또는 남안골이라 부른 데서 운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당...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대흥 고을에서 북쪽 맨 갓마을’이 되므로 갓담[갓뜸], 갓다머니 또는 입침(笠沈)이라 부른 데서 입침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이목동(梨木洞)을 병합하고, 입침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붉은 고개’인 주령(朱嶺)이 있으므로 주령, 주령이 또는 주랭이라 부른 데서 주령리(朱嶺里)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주령리와 외주령리를 병합하고, 주령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가...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그릇점’이 있으므로 점실, 즘실 또는 증곡(曾谷)이라 부른 데서 증곡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평촌(坪村), 산직리(山直里)를 병합하고, 증곡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1917년...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외북면(外北面) 지역일 때 고인돌이 있어서 고인돌 또는 지석(支石)이라 부른 데서 지석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외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동(上洞)을 병합하고, 지석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지석리는 1917년 봉산면이 응봉면으로...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군내면(郡內面) 지역일 때 벌판이 있으므로 들말 또는 평촌(坪村)이라 부른 데서 평촌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군내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세곡리(細谷里), 둔대리(屯垈里)를 병합하고, 평촌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 평촌리는 1917년...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대흥군(大興郡) 내북면(內北面) 지역일 때 ‘절이 팔봉산(八峯山) 밑에’ 있으므로 뒷절 또는 후사(後寺)라 부른 데서 후사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흥군 내북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북사동(北寺洞), 내사동(內寺洞)을 병합하고, 후사리라 하여 예산군 봉산면(峰山面)에 편입되었다....